여름 방학 기간 중 자녀의 지도
여름 방학 기간 중 자녀의 지도
방학이 시작되면 부모님들의 걱정은 태산이다. 매일 학교에 다니며 규칙적인 삵활을 하다가 가정에서 주로 생활하게 됨에 따라 생활 리듬이 깨지고 부모님과 대하는 시간이 많아져 갈등도 증폭되는 경우가 허다하기 때문이다.
가. 방학중이라도 규칙적인 생활을 유지하도록 한다.
방학이 되면 제일 먼저 나타나는 현상이 평소의 생활 리듬이 깨지고 불규칙적인 생활이 되는 일이다. 늦잠과 불규칙적인 식사, 가정 학습의 소홀, 잦은 외출 등 여러 면에서 평소보다 다른 생활 모습이 나타난다. 이 때문에 자연 부모님과 자녀들 사이에 갈등이 커지기 쉽다. 그러므로 방학 중이라도 온 가족이 평소와 마찬가지로 생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머니도 자녀가 학교에 가지 않으니까 평소보다 늦게 일어난다든지 아버지도 휴가 중이니까 늦잠 자고 불규칙적인 식사를 한다든지 하는 일은 삼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소 학교에 다닐 때처럼 일찍 일어나서 규칙적인 식사를 하고 계획에 따른 하루 일과를 보내도록 지도해야 한다. 특히 독서실을 이용하는 자녀는 학교 등교시간에 맞춰 독서실에 가도록 하고 귀가도 평소처럼 하도록 지도하는 것이 좋다.
나. 공부만을 강요하지 말고 여유를 주어야 한다.
학교에 다닐 때는 학교에서 열심히 공부하고 집에 와서도 일정 시간 공부를 하니까 자는 시간을 제외하고는 열심히 하는 것처럼 여겨졌는데 방학 기간에는 집에 있는 시간이 많게 되고 부모님과 마주하는 시간이 많아져 공부에 등한히 하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여러 가지로 간섭과 충고를 가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런 간섭과 충고가 오히려 자녀에게 스트레스를 주게 되고 반발심을 일으켜 역효과를 가져오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부모님은 자녀로 하여금 여유를 갖도록 배려를 해주면서 자각해서 공부에 임하도록 지도함이 바람직하다. 가능하다면 취미 활동을 1∼2시간 정도 규칙적으로 하도록 하는 것도 효과가 있다 자녀로 하여금 1학기 동안 지친 심신을 쉬면서 재충전할 여유를 주어 활기찬 2학기를 맞이하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다. 무리한 학습 계획을 강요하지 말아야 한다.
부모님의 입장에서는 방학 중 많은 시간을 할애하여 부족한 과목을 보충해 주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학원이나. 과외를 계획, 추진하는 일이 많다. 그러나 지나친 계획은 시간만 낭비할 뿐 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때문에 자녀와 상의해서 지금 가장 시급하게 보충해야 할 과목을 선정하고 그에 알맞은 계획을 세워 그 계획을 충실히 이행하는가를 꼼꼼히 챙겨주는 일이 더 중요하다.
라. 생활 지도에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
다른 방학과는 달리 특히 여름 방학은 청소년들이 들뜨고 방종해져 탈선하기 쉽다. 산과 강으로 친구와 어울려 피서를 떠나거나 서클에서 정기 모임 행사를 갖는 등의 이유로 해서 집을 떠나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런 모임에 참석하는 것을 무조건 반대해서도 안 되겠지만 방치해 두는 것은 그만큼 자녀로 하여금 탈선의 기회를 제공하는 결과가 된다. 그러기에 부모님은 자녀가 친구와 더불어 여행을 떠나고자 할 때 자녀와 충분히 대화를 나누어 여행 목적, 구성원, 여행 장소 등을 확인하고 합당하다고 판단이 서게 되면 쾌히 승낙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그렇지 못하다고 판단이 서면 무조건 반대를 하기보다는 왜 허락을 하지 않는가를 자녀가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해 주어야 한다. 1∼2일 정도 여행을 하였다고 학업에 크게 지장이 있는 것은 아니므로 건전한 여행이라면 흔쾌히 허락하는 것도 오히려 학습 의욕을 갖도록 유도하는 길이기도 하다.
마. 가족과 시간을 많이 갖고 대화를 나눌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대부분의 자녀는 아침 일찍 등교하여 학교 수업과 자율학습을 마치고 나면 귀가하는 시간이 10시를 넘어서게 되며, 독서실을 이용하는 학생은 심야에 귀가하게 되어 가족과 식사를 한다든지 대화를 나눌 기회가 전혀 없다. 때문에 자녀가 어떤 고민이 있고 무엇을 원하며 지금의 심경이 어떠한지 헤아리지 못하고 그저 열심히 공부하기만을 강요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므로 방학 때만이라도 자녀와 시간을 많이 가지고 대화를 통해 자녀가 가지고 있는 스트레스를 풀어 주고 어루만져 주어야 한다. 그래서 자녀가 심신이 자유스러워 질 때 학습 의욕도 생기고 강한 성취 의욕도 갖게 된다.